티스토리 뷰

목 차



     

    공감하기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존버씨의 존버 가능한 투자 이야기

    카카오톡으로 편하게 받아보기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사가 그리는 큰 그림을 살펴보자

     

     

    지난 편에 이어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근 화이자 코로나19 위탁생산을 하지 않는다는 공식 발표에도 왜 주가가 오르는지, 기업의 전망이 왜 밝은지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지난 편을 보지 못하셨다면, 먼저 알아야 할 삼성바이오로직스 정보가 있으니 지난 편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①편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 백신 생산 부인에도 주가 오르는 이유

    공감하기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화이자 백신 위탁생산 안 한다" 그래도 주가 상승한 이유 -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 체결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적으로 발

    do-choi.tistory.com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2020~26년 간 연 평균 +10.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바이오가 타 산업대비 성장의 상한선이 없다는 점은 삼바의 꾸준한 고성장을 예상할 수 있게 해주죠.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6년부터 20년까지 연평균 약 41%씩 성장해 왔으며, 시장 성장률을 크게 아웃퍼폼 해왔습니다.

     

    이런 고성장이 예측된다는 점 외에도 최근 주가의 모멘텀이 힘을 실어주고 있는 재료는 바로 21일 한미정상회담입니다. 해당 회담에 삼성바이오로직스와 SK바이오사이언스의 고위임원이 각각 모더나와 노바벡스와 긴밀한 업무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하네요.

     

    한국 정부는 한국의 바이오 생산 능력을 레버리지 삼아 회담에 임하게 될텐데요. 이는 삼바와 SK바사의 글로벌 위상이 그 만큼 높아졌다는 방증입니다. 이 CMO 숏티지 현상 이후에 설령 모멘텀을 잃더라도 결국 성장하게될 바이오 산업 내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위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출처 : [단독]‘삼성-모더나’ ‘SK-노바백스’ 美서 백신동맹 논의, 동아일보

     

     

    미국 CDO R&D 센터 오픈 기자 간담회 주요 내용

     

    위 내용은 작년 10월 미국 CDO R&D 센터 오픈 기자 간담회에서 나온 주요 내용인데요. 삼바의 주력 사업인 CMO 외에도 CDO (위탁개발), CRO (위탁연구)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챔피언의 지위를 겨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CDO의 수주 건수는 지속 증가하고 있고 2~3년 안에 이익 전환이 가능하다고 하니 그 때를 생각하며 또 김칫국을 마셔보게 되네요.

     

    물론 저는 사업가가 아닙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투자자로서 저는 그 과실을 바라보면서 중간에 닥쳐올 수 없이 많은 난관들을 건강하게 존버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증권사 리포트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삼바의 숫자를 살펴보겠습니다.

     

     

     

     

     


    증권사 리포트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숫자를 살펴보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분기 실적을 살펴보며 앞으로의 기업과 종목 전망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1분기 매출액 2,799억원(YoY +35%), 영업이익 726억원(YoY 16%, OPM 26%) 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시장 컨센서스를 각각 -25%, -14% 하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는 1분기와 작년 4분기에 반영된 공장 가동률입니다. 1공장은 유지보수를 진행하느라 가동률이 하락했습니다.

     

    - 1Q21 반영 가동률: 1공장 60%, 2공장 100%, 3공장 50%

    - 4Q20 반영 가동률: 1공장 70%, 2공장 100%, 3공장 25%

     

    3공장 가동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실적 하회 요인으로는 1) 3공장 생산분 매출 인식이 추후에 반영되는 초기 단계 생산 물량이며 2) 환율 하락 3) 유지보수로 인한 1공장 가동률 하락 등이 주요 요인입니다. 이 밖에도 4공장 증설로 인력 또한 500~600명이 증가하여 인건비가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위 요인 중 1), 3)은 일시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고, 이 요인이 하반기에 해소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과 주가는 결국 상저하고의 모양새가 예측됩니다.

     

    코로나로 인한 CMO 수주 수혜 등의 효과는 하반기부터 본격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3공장 가동률 또한 하반기에 상승하며 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이 3공장이 올해 실적 개선을 견인할 예정이구요. 올해 하반기 실적 성장에 이어 2022년에는 1, 2, 3공장 풀가동!!으로 이익 개선 효과가 기대되며, 2022년말~23년초 4공장 가동이 드디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COVID-19 항체치료제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확정된 조건으로 계약했기 때문에 관련된 매출액은 이상 없이 발생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내용으로도 충분히 회사의 숫자가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올해 시장이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가장 기대하는 부분은 바로 4공장 관련 선제 수주입니다.

     

    과거에는 공장완공이 임박해서야 수 주가 본격화되었지만, 글로벌 CMO 1위로서 충분한 트랙 레코드가 쌓이면서 조기에 수주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세포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mRNA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의 CMO가 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에 수주의 폭이 확대될 것입니다. 현재 CMO 누적 수주 금액은 69억 달러 수준입니다.

     

    현재 수령한 RFP(고객사 CMO 제안 요청)는 총 22개로, 올해 1월 JPM 헬스케어 컨퍼런스 당시 8개 대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글로벌 CMO 숏티지 상황과 바이오의약품 시장 성장을 고려할 때 4공장 수주 시점이 빨라질 가능성이 높으며 저를 포함한 시장이 매우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벨류에이션과 매매 전략

     

     

    어제 (05/13)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는 90만원을 잠깐 돌파하며 시장의 약세에도 홀로 좋은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엄청난 고PER 주식입니다. 2022년 예상 실적 기준 현재 PER는 약 135입니다. 즉, 이미 주가에는 향후 수십년의 고성장 예측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서두에 적었듯이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고성장을 해나갈 것이고 이미 시장 1위로 자리잡은 삼성바이오로직스도 공장만 계속 짓고 수주만 계속 늘려나가면 고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다는 단순한 논리입니다.

     

    그래서 증권사의 리포트를 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에는 현금흐름법을 적용하여 2029~30년의 현금흐름까지 미리 앞당겨와서 계산을 합니다. 아래는 2029년까지의 예측되는 이익을 활용한 벨류에이션 테이블입니다. 메리츠증권 김지하 애널리스트 출처이며, 하단의 적정주가는 참고만하세요!

     

     

    사실 대부분의 애널리스트들이 동사 밸류에이션에 +5% 이상의 매우 높은 수준의 영구 성장을 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공장을 더 짓는 것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 합니다.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공장은 당연히 끝없이 지어야 주가가 정당화되며, 공장을 짓는 만큼 성장한다는 가정은 주가에 이미 녹아 있습니다. 또한 단기 실적에 연연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동사의 생산 CAPA와 수주내역, 투자계획을 보면 향후 수년간의 현금흐름은 어느정도 정해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분기 컨센서스를 하회한 이유가 기업가치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관건은 시장 예상보다 공장의 가동률이 빠르게 올라가야 합니다. 지난 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치료제 CMO 수요가 갑자기 급증하면서 시장 예상보다 3공장 가동률이 빠르게 증가하였고, 이는 큰 주가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현재 3공장 가동률은 50% 수준이고, 올해 풀가동이 예상된다. 앞으로의 주가는 위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4공장에 대한 선수주가 얼마나 올라오느냐가 관건입니다. 예를 들어, 3년 걸릴 4공장 풀가동이 2년 안에 끝날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올해 아두카누맙의 허가로 알츠하이머 시장이 열리는 것도, 수주를 급격하게 증가시킬 하나의 이벤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터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저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같이 성장하는 산업의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수주 잔고가 꽉 차 있는 회사는 떨어질 때마다 분할 매수하는 전략으로 장기 투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단순한 매매 전략이라서 실망하셨나요? 하지만 이미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계속 성장할 회사라는 것은 시장도 알고 이제 이 글을 보신 분들은 모두가 알고 계십니다. 그렇다면 떨어질 때 마다 1주 씩 모아가는게 미래 가치를 바라보는 투자자로서 해야할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급격한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한 금리 상승은 고PER 성장주에게 시련을 가져다 주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 마저도 조정받는 요 며칠 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시장을 이기고 좋은 주가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렇게 오르다가 단기 재료가 소진되면 다시 주가는 떨어지겠습니다. 하지만 최근 며칠 동안 시장을 아웃퍼폼하는 모습은 삼성바이오로직스라는 종목 안에 내재된 엄청난 성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 한양증권

     

     

     

     

     


    많이 본 글 다시 보기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 백신 생산 부인에도 주가 오르는 이유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 백신 생산 부인에도 주가 오르는 이유

    공감하기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화이자 백신 위탁생산 안 한다" 그래도 주가 상승한 이유 -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 체결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적으로 발

    do-choi.tistory.com

     

    삼성전기, MLCC 업황 회복에 최대실적 예고 & 관련주

     

    삼성전기, MLCC 업황 회복에 최대실적 예고 & 관련주

    공감하기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 MLCC 업황 회복! 삼성전기와 협력사는 호황 > - MLCC는 회로에 전기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제어하는 댐 역할을 하는 부품 - 스마트폰과 전기차에 많이 들어가,

    do-choi.tistory.com

     

    네이버 (NAVER) 종목 완전 분석 & 1Q21 리뷰 ①

     

    네이버 (NAVER) 종목 완전 분석 & 1Q21 리뷰 ①

    선 공감하기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존버씨이야기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고 카카오톡으로 편하게 받아보기 (링크 클릭) bit.ly/johnverrc < 네이버(NAVER) 최근의 주가 흐름과 1Q21 리뷰 >  5월 7일

    do-choi.tistory.com

     

     

     

     


     

    존버씨의 존버 가능한 투자 이야기

    카카오톡으로 받아보기

     

    존버씨이야기

    <전국민 현명하고 행복한 투자자되기 프로젝트> 존버씨이야기 채널 추가하고 존버하는 법에 관한 이야기 구독하기

    pf.kakao.com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모양의 공감하기와 구독 꾸욱 눌러주세요!

     


    ※ 본 자료 발행 시점 기준 작성자는 해당 종목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절대 아니며, 투자의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주식 투자는 원금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자료를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작성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캡처, 도용할 수 없습니다. 링크 공유만 허락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