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 차
공감하기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
존버씨이야기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고
카카오톡으로 편하게 받아보기 (링크 클릭)
미국 대선 때는
S&P 500 섹터별 수익률 차이가 더 난다?
11월 3일. 미국 대선이 다가오고 있고 이제 한 달도 남지 않았습니다.
미국 추가 부양책 합의 지연,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 확진, 트럼프의 부양책 합의 중단 선언 등 많은 October Surprise가 나오고 있는데요. 많은 분들께서 미국 대선 기간에는 어떤 투자 전략을 가져가야하는지 궁금해하실 것 같습니다. 저 또한 궁금해서 찾다가 재미있는 자료를 발견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미국 대선같은 큰 이벤트는 기본적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키웁니다. 변동성이 커진다는 말은 곧 증시의 출렁임이 커진다는 말과 같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내 포트폴리오에 어떠한 종목을 담았는지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이 논리는 섹터(업종)를 순환하며 투자하는 액티브 매니저 (혹은 개인 투자자)에게도 해당됩니다. S&P의 리포트에서는 이를 섹터 간의 분산(Dispersion)이 커졌다고 표현합니다.
이런 현상은 미국 대선이나 의원 선거가 포함된 11월은 섹터별 분배 전략을 구사하는 투자자에게 큰 기회를 줄 것입니다. 이는 영국과 캐나다의 증시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된 현상입니다. 물론 섹터별 분산은 S&P 500 종목 간의 분산보다는 늘 작습니다. (아래 그림 참조)
그리고 시가 총액이 클수록 분산이 낮습니다. 이 둘은 Trade-off 관계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10년 평균 사이즈와 분산을 비교한 표를 보시면, 음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섹터간의 분산은 전체 마켓의 분산에 22%만큼 기여한다고 합니다. (1990.01 ~ 2020.08 데이터 기반)
미국 대선이 포함된 11월에 더욱 뚜렷해지는 상관관계
위 사진을 보면 11월이 다른 달에 비해서 섹터의 분산이 전체 시장에 주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90년부터 20년 8월까지의 모든 11월에 대통령이나 의회 선거가 열린 것은 아니니 아래 차트에서 분리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막대 그래프를 설명드리자면 왼쪽 막대부터 순서대로 '대통령 선거가 열린 11월', '의회 선거가 열린 11월', '선거가 없었던 11월', '11월 이외의 달'을 나타냅니다.
가장 왼쪽 막대의 71%가 뜻하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통령 선거가 열린 11월 중 71%가 섹터 간 분산(이하 Cross-sector effects)이 전체 마켓에 주는 영향이 평균(22%) 보다 높았다. 이 기간 중 대통령 선거는 총 7번 있었으므로 4.97번 약 5번의 11월에 이러한 현상이 관측되었다는 뜻이 됩니다.
물론 대통령 선거가 있던 11월에 대한 표본이 적긴 합니다. 하지만 '선거가 없었던 11월'과 '11월 이외의 달' 막대 그래프와 상대적으로 차이가 명확하다는 점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는 데이터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시가총액이 적은 Mid-cap과 Small-cap은 의회 선거가 있던 11월에 Cross-sector effects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영국과 캐나다의 데이터에서도 선거(대통령, 의회 선거 포함)가 시행된 달에 Cross-sector effects가 더 크게 나타나는 현상이 관측되었습니다.
결론
이 연구 결과는 섹터 간 로테이션을 하며 투자하는 액티브 매니저, 개인투자자가 참고할만합니다. 또한 ETF를 통해서 미국 시장의 특정 섹터에 투자하는 한국의 서학개미들에게도 유의미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시장 인덱스에 투자하는 패시브 투자 전략이 아닌 액티브 투자 전략의 수익률은 결국 투자자의 스킬과 잠재수익률(기회)이 결정합니다. 그리고 1990년부터 2020년 8월까지의 데이터가 미국 대선이 있는 11월에 Cross-sector effects가 나타난다고 말해줍니다. 이는 결국 잠재수익률이 미국 대선 기간에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이런 잠재수익률이 즉, 섹터간 수익률 차별화가 투자자의 수익률을 보장해주는 건 아닙니다. 잠재수익률과 내 포트폴리오의 실제수익률은 다르죠. 분산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잘못된 선택을 했을 때에 평균과 더 큰 차이로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능력 있는 여러분께는 지금의 미국 대선 기간이 기회임을 연구 결과가 말해주고 있습니다.
저에게는 흥미롭고, 결론이 말해주는 함의가 저에게 색다르게 다가오는 면이 있는 연구 결과였습니다.
인기글 다시 보기
& 관련자료 및 출처 링크
인기글 다시 보기)
존버씨이야기 카카오톡 채널 추가하고
기업분석,
카카오톡으로 편하게 받아보기 (링크 클릭)
존버씨이야기
<전국민 현명하고 행복한 투자자되기 프로젝트> 존버씨이야기 채널 추가하고 존버하는 법에 관한 이야기 구독하기
pf.kakao.com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모양의 공감하기와 구독 꾸욱 눌러주세요!
※ 본 자료 발행 시점 기준 작성자는 해당 종목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본 자료는 종목에 대한 매수 추천이 절대 아니며, 투자의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주식 투자는 원금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자료를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작성자의 허락 없이 무단 복제, 캡처, 도용할 수 없습니다. 링크 공유만 허락합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홈쇼핑 주가 전망 (지에스홈쇼핑 주가) (0) | 2020.10.13 |
---|---|
LG화학 실적 발표 주가전망, 원화 강세 환율 하락 (0) | 2020.10.12 |
삼성전자 잠정 실적 발표 (2) | 2020.10.08 |
LG화학 주가 금호석유 주가 상승 이유 (0) | 2020.10.08 |
현대차 주가 기아차 주가 전망 (2) | 2020.10.05 |